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2)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을 알아봅시다 건강검진을 받을 권리는 건강보험에 가입한 국민이라면 누구나 있습니다. 직장인의 경우 사무직은 2년에 1회, 비사무직은 1년에 1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1. 건강보험 EDI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로그인해 주시고, 상단에 [신고/제증명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 2. 상단 메뉴에서 [신고/신청]을 선택하시고 하단에 있는 [건강검진 대상자 명단 재전송 신청서]를 클릭합니다. ​​ 3. 아래 신청구분이 [건강검진 대상자 신청]으로 선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셨다면 상단에[신고(전송)/신청]을 클릭하여 신청을 마치실 수 있습니다. ​ ​ 4. 영업시간 기준 n 시간 이내에 [받은 문서]로 건강검진 대상자 명..
약! 잘쓰면 약이되고 잘못쓰면 독이 됩니다 잘 쓰면 약이고 잘못쓰면 독이 됩니다. 약은 무조건 해롭지도, 무조건 이롭지도 않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약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약에서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약을 잘못 사용한다면 약은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환에 맞게, 정해진 용량·용법으로 필요한 기간만큼 약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을 진단받았는데 증상이 없다고 해서 처방받은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다면 갑자기 고혈압으로 인한 뇌졸중 등 합병증으로 더 큰 병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 항생제의 경우 일주일분을 처방받으셨는데도 약을 많이 먹으면 무조건 해로운 줄 알거나, 증상이 좋아졌다고 도중에 안 드시게 되는 경우, 증상이 악화되거나 또는 항생제 내성을 키우게 되어 나중에 항생제..
심장정지 환자 발견 시 대처 요령 심장정지 환자를 발견하면 이렇게 해보세요 심장정지란 피를 온몸에 공급하는 심장의 기능이 갑자기 멈춰서 생명에 위협을 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심장정지는 예고 없이 갑자기 찾아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심장정지 환자를 발견했을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한다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심장정지 의심 환자를 발견했을 때의 행동요령과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ED)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심장정지와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대해 자주하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심장정지는 건강한 사람은 걱정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우리나라에서 갑작스럽게 심장이 멈추는 심장정지로 쓰러지는 환자는 연간 3만명이 넘습니다. 평소에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발생가..
노인의 체중관리 중요합니다 노인의 체중관리 방법 1. 비만이란? 비만이란 ‘체지방이 과다하고 이로 인해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세계보건기구(WHO) 정의). 그러나 체내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은 시행하기 어려우므로 대개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는 것과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1) 체질량지수를 통한 비만의 정의 (1) 체질량지수(BMI):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 신장 170 cm, 체중 70 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70 kg/ (1.7 m)2) (2)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 성인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입니다. 체질량지수 25.0~29.9 kg/m..
당뇨병 이전으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 당뇨병,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1) 당뇨병의 정의, 원인, 종류 당뇨병은 혈액 내의 포도당 농도인 혈당(혈장 포도당)이 상승한 상태(고혈당)를 특징으로 합니다. 혈당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은 인슐린이기 때문에, 인슐린 분비의 상대적인 부족 혹은 인슐린의 작용 이상(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혈당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과거에 여러 가지 분류법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발병 원인을 바탕으로 일부 임상적 특징을 고려하여 만든 분류법(1형당뇨병, 2형당뇨병, 임신당뇨병 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1형당뇨병은 절대적인 인슐린의 결핍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기전을 통해 파괴되어 발생합니다. 2형당뇨병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당뇨병의 유형으로서, 인슐린 분비의 상대적인 부..
양성입니다. 건강검진 시 알아야 하는 상식 코로나19와 같이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체 검사를 실시했을 때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질병에 걸린 '양성(陽性)'이라고 한다. 반면 '음성(陰性)'은 반응이 없거나 일정 수치 이하인 경우 질병에 걸리지 않았다는 의미다. 국가건강검진에서 기본적으로 실시하는 혈액·소변 검사에서도 이상이 있으면 '양성', 이상이 없으면 '음성'이라고 한다. 하지만 위·대장 내시경 검사 결과는 다르다. 위·대장 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덩어리진 종양이 발견되면 조직 검사를 실시한다. 해당 조직이 암이라면 나쁘다는 의미의 악(惡)을 사용해서 악성(惡性)이라고 표현한다. 반대로 암이 아닌 경우 착하다는 의미의 양(良)을 써서 양성(良性)이라고 한다. 양성 종양은 특별한 몇 가지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 생명에 위협을..
감기인가요? 폐렴인가요? 감기와 폐렴을 구분할 수 있나요? 폐렴에 걸리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일반적으로 폐렴에 걸리면 기침과 고름처럼 노란 화농성 가래가 나타나고, 대부분 38도 이상의 열이 납니다. 폐렴이 폐를 둘러싸고 있는 늑막과 닿은 부분에 생기거나, 늑막염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가슴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통증은 숨을 들이마시거나 기침을 할 때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중증 폐렴이거나 늑막염으로 인해 늑막에 흉수가 차게 되면 호흡곤란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이나 비정형 폐렴은 가래보다는 발열, 마른 기침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노인에서 폐렴이 생기면, 열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기침, 가래와 같은 전형적인 호흡기 증상 대신 식욕 부진, 기력 저하, 넘어짐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는..
잇몸 건강 잊지 말고 챙기세요 잇몸 건강,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잇몸병(치주질환)은 이런 치주조직이 손상되는 병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은 치아 건강뿐 아니라 다른 전신 질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치주질환이 무엇인지, 어떻게 잇몸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주질환은 어떤 질환인가요? “치주질환은 치아를 고정하는 치주조직이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아는 치주인대, 치조골, 그리고 잇몸으로 구성된 치주조직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습니다. 치주조직은 음식을 부수거나 찧을 때 치아를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치주조직이 세균에 의해 감염되면서 염증이 생기는 병이 치주질환입니다. 치주질환이 생기면 잇몸에서 피가 나게 되고..